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3

KT AIVLE SCHOOL 6기 DX 트랙 14주차 후기

14주차 교육 (24.12.02 ~ 24.12.06) 클라우드 서비스IT인프라 다음 교육은 클라우드 서비스였다.나는 이 전 직장에서 네이버 클라우드(서비스가 아닌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해본 적이 있다.서치, 구매, 설치, 배포, 교육까지 진행하였다. 때문에 금번 클라우드 서비스 강의는 감회가 새로웠다.하지만 동시에 내가 알던 지식의 풀이 매우 좁았다는 것도 금방깨달아버렸다. 이번 교육에서 학습한 내용은 AWS, Azure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한 내용이었고.클라우드 서비스라 함은 WEB-APP-DB-통신 까지 통 틀어 가리키는 내용이었다. 이번 교육도 당연히 알찼다.하지만 AWS 특화 교육인 것 만은 아쉬웠다. 사실 이번 교육은 AIVLE 교육을 수강하며 처음으로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고있다는 생각이 들었..

KT AIVLE SCHOOL 6기 DX 트랙 13주차 후기

13주차 교육 (24.11.25 ~ 24.11.29) IT 인프라KT AIVLE SCHOOL 교육의 2장 IT인프라로 시작되었다.첨엔 제안서 작성 교육만 3주 하는줄 알았는데, IT인프라, 클라우드 하고 제안서 작성은 7일 교육이었다. 교육 내용은 매우 알찼다.기초적인 통신 내용부터 시작하여 연결관계, 그리고 미래의 기술까지 학습을 하였고, 실습도 진행했다. 그러나 우려되는 부분은 교육받는 교육자들이 이 내용의 중요성을 잘 파악할 수 있을지 라는 의문이 있었다.정말 알차고 좋은내용이지만, 분명 머리에 물음표 떠있는 사람들 많았을거다. 그 이유는 내 생각엔 아래와 같다.학교에서는 과도하게 최신기술만 가르쳤다. 가령 PHP, Apache가 뭔지 모르지만 Spring이나 다른 최신 프로그램은 잘 안다경제학은 ..

이중화

서버 이중화서버를 이중화하여 장애, 재해시 빠른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함 네트워크 이중화네트워크 장비의 장애 발생시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예비 네트워크 장비를 배치하는 것 스토리지 이중화스토리지 장비에 장애 발생시 데이터로의 접근,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예비 스토리지를 배치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 디스크 병렬화로 성능 향상- 데이터 복제로 인한 안정성 향상 RAID 0(Striping)- 최소 2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각 저장(중복x)- 고용량, 고성능 효과를 얻지만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RAID기능 장애 RAID 1(Mirroring)- 최소 2개 이상의 디스크가 ..

고가용성

고가용성서버와 네트워크 등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가 높은것을 의미함다시말해, 서비스가 다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된 시간을 의미 가용성주로 백분율화 하여 표기함 이중화시스템의 장애를 대비하고 안전성 강화를 위해 같은 시스템을 2개 이상으로 구현하는 구조특정 지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게 지원함 Active 시스템과 Standby 시스템Active : 정상 동작을 하고있는 시스템Standby : Active 시스템 다운시 Standby 시스템 동작 Active- Active 이중화 구성동일 시스템2개를 모두 Active로 유지 Active-Standby 이중화 구성한개는 Active 다른 하나는 Standby 시스템으로 유지 FailoverStandby 시스템이 ..

보안

IT보안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IT자산에 대한 무단 접근을 방지하여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 혹은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의 도난, 손상, 서비스 중단 등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 보안 유형- 네트워크 보안 : 권한이 없거나 악의적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게 차단- 인터넷 보한 : 브라우저에서 주고 받는 정보를 보호, 웹 기반 APP보안- 엔드포인트 보안 : 휴대폰,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등 악성코드 방지- 클라우드 보안 : 클라우드 아키텍처 내 데이터와 정보를 보호-  APP 보안 : APP내 데이터, 코드 등이 해킹에 의해 도난되거나 변질되는것을 방지 방화벽(Firewall)미리 정의된 보안규칙에 의해 들어오고 나가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역할, 이를 규제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

스토리지

스토리지란?컴퓨터, 서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의미한다, PC의 하드디스크, USB, 기업용 대용량/고성능 스토리지 등Tape, HDD, SSD, NVMe, Clould HDD(Hard Disk Drive)IBM에서 최초 개발하였으며 Tape보다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하드디스크 랙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음 SSD(Solid State Drive)HDD 보다 수 배 빠른 전송 속도 제공, HDD 보다 고개의 비용 NVMe주로 노트북용 SSD로 사용하며 NVMe서버에 장착하여 기업용으로도 사용 가능함 DAS(Direct Attached Storage)서버와 저장장치를 직접 케이블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연결 장치 수에 제한이 있으며 다른 장치나 사용자에게 공유하지 못함 NAS(Netwo..

리눅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UNIX와 비슷한 시스템인 Minix에서 영감을 받아 리눅스 OS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음오픈소스이고 무료이며 리눅스를 통해 수많은 오픈소스가 개발되어있음 리눅스 파일종류내용리눅스 파일디스크에 저장되는 자료일반 파일텍스트파일실행파일(바이너리 파일)이미지파일(바이너리 파일)디렉토리 파일리눅스에서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됨특수 파일심벌릭 링크 :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바로가기)장치 파일 :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등 각종 장치도 파일로 취급  리눅스 기본 코드코드기능예시pwd현재 디렉토리를 출력pwdmkdir디렉토리를 생성mkdir mkdir -pp옵션을 사용하면 여러 디렉토리 동시 생성mkdir -p //rmdir디렉토리 삭제rmdir rmdir -p최하..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가상머신과 컨테이너왜 가상머신과 컨테이너를 사용할까?- 보유한 시스템 자원 활용 증대- 물리적인 장비를 구비하거나 장소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물리적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도 가상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성 및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안성 가상머신을 사용하면 실제 물리자원은 하나로 사용하되 그걸 가상으로 분리하여 가상자원을 할당하게 된다.VirtualBox 등을 통해 가상환경 구축 실습을 직행할 수 있다. 마이그레이션(Migration)가상머신을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옮기는 것, 물리적인 이동을 의미한다. 가상의 공간을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보를 넘기는 성격을 가진다. 컨테이너란?OS 가상화 기술 중 하나이며, 프로세스를 격리하는 기술이다...

서버

서버란?말 그대로 제공자이다. 식당같은 곳에서 서버는 서빙하는 사람을 말하지만, 컴퓨터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의 전통적인 아키텍쳐1. APP : 웹, DB, 게임, 메일2. OS : Z/OS, AIX, HPUX, Windows, Linux3. H/W : 메인프레임, 유닉스, x86 Server Farm & DMZ1. 서버팜 : 컴퓨터와 서버 등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을 한 곳에 모아 놓은 곳, 외부에서 허가되지 않은 접근은 접근 차단, 논리적인 개념이다.2. DMZ : 보안 지역과 비보안 지역 사이의 중립지역, 공개해도 되는 서버를 배치하여 서버팜의로의 직접적인 접근 차단, 논리적인 개념이다. 웹서비스 3Ti..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