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용성
서버와 네트워크 등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가 높은것을 의미함
다시말해, 서비스가 다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된 시간을 의미
가용성
주로 백분율화 하여 표기함
이중화
시스템의 장애를 대비하고 안전성 강화를 위해 같은 시스템을 2개 이상으로 구현하는 구조
특정 지점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게 지원함
Active 시스템과 Standby 시스템
Active : 정상 동작을 하고있는 시스템
Standby : Active 시스템 다운시 Standby 시스템 동작
Active- Active 이중화 구성
동일 시스템2개를 모두 Active로 유지
Active-Standby 이중화 구성
한개는 Active 다른 하나는 Standby 시스템으로 유지
Failover
Standby 시스템이 Active로 전환되는 기능을 의미함
- Hot Standby Failover : 기존 시스템 장애시 즉각 Standby 시스템 사용
- Warm Standby Failover : 기존 시스템 장애시 추가 설정 이후 Standby 시스템 사용
- Cold Standby Failover : Standby 시스템을 정지로 유지하다가 수동으로 전환
로드밸런서
처리해야할 업무, 요청, 트래픽 등을 나누어 처리하도록 분산하는 것
L4 로드밸런서
IP와 Port 를 기준으로 부하분산
L7 로드밸런서
IP와 Port 외에 URL, Payload, HTTP, Cookie 등 내용을 기준으로 부하 분산
L4 로드밸런서 - 라운드 로빈
순차적으로 서버에 트래픽을 할당하여 분산
L4 로드밸런서 - 가중치 라운드 로빈
순차적으로 서버에 트래픽을 할당하여 분산하되, 가중치가 높게 설정된 서버부터 처리함
L4 로드밸런서 - 최소 연결 방식
가장 처리를 적게 한 서버에 우선적으로 할당하여 분산하는 방식
L4 로드밸런서 - IP 해시 방식
클라이언트의 IP주소를 기반으로 동일한 IP의 트래픽은 항상 동일 서버로 연결
L4 로드밸런서 - URL 스위칭 방식
특정 하위 URL들은 특정 서버로 처리
L4 로드밸런서 - 컨텍스트 스위칭 방식
특정 리소스 요청에 대해서는 특정 서버를 연결
로드밸런서의 기능 - Health Check
서버에 지속적 트래픽을 보내며 장애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로드밸런서의 기능 - NAT
공인 IP주소와 사설 IP주소간 변환
로드밸런서의 기능 - DSR(Direct Server Return)
로드밸런서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로 트래픽을 바로 전달
'Study IT > IT Infrastruct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화 (0) | 2024.12.07 |
---|---|
인프라 구성도 제작 툴 (0) | 2024.12.07 |
보안 (0) | 2024.12.07 |
스토리지 (0) | 2024.12.07 |
리눅스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