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란?
말 그대로 제공자이다. 식당같은 곳에서 서버는 서빙하는 사람을 말하지만, 컴퓨터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의 전통적인 아키텍쳐
1. APP : 웹, DB, 게임, 메일
2. OS : Z/OS, AIX, HPUX, Windows, Linux
3. H/W : 메인프레임, 유닉스, x86
Server Farm & DMZ
1. 서버팜 : 컴퓨터와 서버 등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을 한 곳에 모아 놓은 곳, 외부에서 허가되지 않은 접근은 접근 차단, 논리적인 개념이다.
2. DMZ : 보안 지역과 비보안 지역 사이의 중립지역, 공개해도 되는 서버를 배치하여 서버팜의로의 직접적인 접근 차단, 논리적인 개념이다.
웹서비스 3Tier 아키텍처 요소
금일 교육의 내용이다.
1. 웹서버 : 정적 웹페이지
2. WAS(Web Application Server) : 동적 컨텐츠 처리
3. DBMS : 데이터베이스 운영 관리
하지만 교육의 내용대로라면 내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위 사진의 내용이 더 많이 배포되곤 하는데, 내 생각엔 사진대로의 구조가 맞는듯 하다.
1. 클라이언트 : 요청을 보내는 시발점
2. 서버 : 요청을 받아 WAS를 작동시켜 DB와 소통
3. DB : 요청받은 데이터를 전송
1Tier 아키텍쳐
단일 계층 아키텍쳐, 하나의 서버에서 Web, WAS, DB 역할을 수행
2Tire 아키텍쳐
WEB / WAS + DB
WEB + WAS / DB
3Tier 아키텍쳐
Web / WAS / DB를 각각 다른 서버에 저장.
각 계층간의 독립성이 높아지고 보안도 강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서버 아키텍쳐의 발전
일반적으로 APP / OS / H/W가 있으나. 이를 확장시켜 혹은 가상의 환경으로 발전시킨 가상머신과 컨테이너가 존재한다.
서버 가상화(Virtualization)
하이퍼바이저 :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 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VMware ESXi, MS Hyper-V, Linux KVM, IBM Power VM 등
서버 컨테이너(Containerization)
OS수준의 가상화 기술로 리눅스 커널을 공유, 프로세스를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는 가상화 기술
Docker가 정석적인 컨테이너로 불려짐
'Study IT > IT Infrastruct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0) | 2024.12.07 |
---|---|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0) | 2024.12.07 |
IP 네트워크 (0) | 2024.12.07 |
스위치 네트워크 구성 (0) | 2024.12.07 |
IT 인프라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