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란?
컴퓨터, 서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의미한다, PC의 하드디스크, USB, 기업용 대용량/고성능 스토리지 등
Tape, HDD, SSD, NVMe, Clould
HDD(Hard Disk Drive)
IBM에서 최초 개발하였으며 Tape보다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하드디스크 랙을 사용하여 저장할 수 있음
SSD(Solid State Drive)
HDD 보다 수 배 빠른 전송 속도 제공, HDD 보다 고개의 비용
NVMe
주로 노트북용 SSD로 사용하며 NVMe서버에 장착하여 기업용으로도 사용 가능함
DAS(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장치를 직접 케이블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연결 장치 수에 제한이 있으며 다른 장치나 사용자에게 공유하지 못함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저장장치를 이더넷 등 LAN 방식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방식, 여러개의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각각 할당 받은 용량을 사용
때문에 접속 트래픽이 증가할 경우 성능 저하 및 속도 저하가 발생
DAS와는 달리 다수의 서버나 스토리지를 연결하여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보유함
프로토콜 : NFS, iSCSI
SAN(Storage Area Network)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LAN 대신에 광케이블(FC Cable)을 사용하며, SAN Switch를 통해 여러 노드에게 할당하여 사용 가능함. 별도로 SAN 스위치가 필요한 형태이며 FC(Fiber Cable)을 사용함
FC(Fiber Channel)
FC케이블을 사용하며 서버 및 호스트에 고성능 스토리지를 연결하는 고속 네트워크 프로토콜
호스트에 HBA 장비가 필요하며 SCSI 트래픽을 전달
iSCSI(Internet SCSI)
LAN 케이블을 사용하여 Network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TCP/IP 프로토콜로 패키징한 프로토콜이
HBA 어댑터를 사용하며, NIC를 사용하기도 함
FCoE(Fibre Channel over Ethernet)
CNA를 사용하여 이더넷과 Fibre 체널 환경을 구성함
NFS(Network File System)
NAS방식 프로토콜, NIC를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활용하며 LAN케이블을 사용
'Study IT > IT Infrastruct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라 구성도 제작 툴 (0) | 2024.12.07 |
---|---|
보안 (0) | 2024.12.07 |
리눅스 (0) | 2024.12.07 |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0) | 2024.12.07 |
서버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