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제안 전략 수립

전략 제안 컨설팅 - 고객분석

Socialmi 2024. 12. 10. 16:01
반응형

전략 제안 컨설팅 이란?

1) 기업의 문제와 목표를 탐색
2) 해당 문제와 목표를 해결/달성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

 

컨설팅의 3대 분야는 아래와 같다

1. 전략 컨설팅 : 기업의 사업 방향이나 계획, 구조 조정 등 근본적인 전략 제시

2. 오퍼레이션 컨설팅 : 회계, 재무, 마케팅 등등 특화된 분야의 전문적인 인력을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최적화

3. IT 컨설팅 : 회사의 IT 인프라를 조언, 혹은 IT 전략을 조언

제안컨설팅을 위한 사업화 프로세스

 

사업의 이해는 곧 고객 가치 형성에 있다. 때문에 고객 가치의 입장에서 정의 > 창출 > 전달 > 교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환경 분석이란 즉 미래 지향적인 사고에 기안한다. 이 또한 고객 가치의 입장에서 대변되는데, 미래의 예측에 대해 고객의 니즈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라는 물음에 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고객분석

고객분석의 목적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고객의 Needs를 찾는 것이다.

앞선 내용을 정리해보면, 비즈니스 컨설팅의 출발은 고객 니즈 분석이다. 그래야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고, 그 시장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사업 규모와 작동 인원, 이해 관계자 까지 영향을 미치는 비즈니스 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제안 컨설팅의 70%는 고객분석에 소비해야 할 정도로 중요한 부분이다.

 

고객니즈 구조

 

아래 표를 활용하여 고객 니즈의 구조를 알아보자.

고객도 모르는 니즈 표현하지 않는 니즈, 마케팅의 문제 영역
알지만 표현하지 않는 니즈
다르게 표현하는 니즈
만족 니즈 / 불만족 니즈 표현하는 니즈, 현 마케팅 활동 집중 영역

 

고객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표현하는 니즈를 토대로, 표현하지 않는 니즈까지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표현하는 니즈로 상황을 판단하되, 표현하지 않는 니즈로 고객을 사로잡을 수 있다.

 

구매센터 분석

 

구매센터란 이해관계자 혹은 분석대상이라는 목표와 의미를 같이한다.

그들의 이해관계자 까지 고려하고 부수적인 효과를 예측하여야 좋은 To-Be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분석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의 내부 혹은 외부까지 확장시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B2B 사업의 고객이란 직접적으로 구매 고객사의 실무자를 의미한다.

구매센터 구성원의 의사전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안자 -> 검토자 -> 영향력자 -> 결정자 -> 구매자 -> 사용자

 

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조직도를 확보하는것은 전략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이는 구매관련 의사결정 참여자들의 집합 규모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혹은 고객의 유사업종 조직도를 차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