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IT/IT Infrastructual

이중화

Socialmi 2024. 12. 7. 17:41
반응형

서버 이중화

서버를 이중화하여 장애, 재해시 빠른 서비스 재개를 목표로 함

 

네트워크 이중화

네트워크 장비의 장애 발생시 계속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예비 네트워크 장비를 배치하는 것

 

스토리지 이중화

스토리지 장비에 장애 발생시 데이터로의 접근,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 하도록 예비 스토리지를 배치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 여러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

- 디스크 병렬화로 성능 향상

- 데이터 복제로 인한 안정성 향상

 

RAID 0(Striping)

- 최소 2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각 저장(중복x)

- 고용량, 고성능 효과를 얻지만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RAID기능 장애

 

RAID 1(Mirroring)

- 최소 2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 데이터를 복제하여 저장

- 다른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시 복제하여 사용 가능, 안정성은 좋으나 비용이 n배 필요

 

RAID 5

- 가장많이 사용되는 RAID 구성

- Block 단위로 Striping 하고 패리티를 순차적으로 다른 디스크에 저장

-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RAID 10(1+0)

- 미러링을 해주되, 각각을 스트라이핑 하는 것

- 최소 4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

 

사이트 이중화

2개 이상의 데이터센터에 동일한 인프라를 구현하는 것

 

Disaster Recovery

- 재해복구 : 각종 재해 및 위험요소에 의해 구현되어있는 서비스나 시스템이 중단되었을 때 정상 상태로 복구 시키는 것

- DR중요성 : 비즈니스 연속성, 고객유지, 복구비용절감

 

DR 복구 목표

- RTO : 복구시간목표, 서비스가 중단된 시점부터 서비스가 복원된 시점에 대한 최대 시간

- RPO : 복구시점목표, 마지막으로 백업한 복구시점부터 서비스가 중단된 시점 사이의 최대 시간

728x90

'Study IT > IT Infrastruct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가용성  (0) 2024.12.07
인프라 구성도 제작 툴  (0) 2024.12.07
보안  (0) 2024.12.07
스토리지  (0) 2024.12.07
리눅스  (0) 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