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IT/IT Infrastructual

IP 네트워크

Socialmi 2024. 12. 7. 17:33
반응형

IP주소란?

IP주소는 32bit의 2진수로 구성되어있으나 우리는 그걸(8자리) 를 10진수 변환한 숫자로 널리 알고있다.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있으며 서브넷 마스크로 이를 구분하게 된다.

 

옥텟(octet)

8자리 정수를 의미한다. IP주소에서 8bit의 이진수를 옥탯으로 부른다

 

서브넷 마스크

IP주소 중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만든 32bit의 2진수

네트워크 주소 16비트, 호스트 주소 16비트면 아이피에서 앞2개는 네트워크주소라는 뜻

4개*4개로 네트워크 주소 길이와 호스트 주소 길이를 보여준다

 

서브넷팅

네트워크를 더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

IP부족현상 해결,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할 등

맨 뒤 옥텟이 변하는것(0~255) 의 구성을 의미한다

 

서브네트워크

큰 네트워크에서 분할되어 만들어진 작은 네트워크 

 

공인 IP와 사설 IP

- 공인 IP : IP주소 관리 기관에 IP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IP

- 사설 IP : 내부망 등에서 사용되는 지정 IP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해주는 서비스(혹은 반대)이며 공인 IP 주소를 여러 장비가 나누어 쓰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만 알고 있을 때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2계층일 경우 내부망에서 사용되고. 3계층일 경우 IP주소를 사용한다.

 

라우팅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하는 3계층 장비. 서로다른 IP 네트워크 간에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며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라우팅을 수행한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호스트의 IP주소를 비롯하여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 제공 해준다.

이는 IP충돌 방지에 용이하고, IP설정을 자동으로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DHCP서버에 의해 IP가 할당되어 이를 미리 지정해주어야 한다.

 

DNS(Domain Name System)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호스트의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를 수행

구글은 www.google.com  이지만 DNS는 8.8.8.8이다.

 

게이트웨이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간 연결해주는 역할 통로. 설정에 따라 통과 및 불통과를 결정할 수 있다.

728x90

'Study IT > IT Infrastructu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0) 2024.12.07
가상머신과 컨테이너  (0) 2024.12.07
서버  (0) 2024.12.07
스위치 네트워크 구성  (0) 2024.12.07
IT 인프라  (0) 2024.12.07